본문 바로가기

모바일/라이즈 오브 킹덤즈(ROK)

ROK(라이즈 오브 킹덤즈) 사령관 공략 - 전설 등급 리처드 1세(Richard I)

 

1. 개요

 

 

지난 애설플레드에 이은 전설 등급의 사령관 리처드 1세 육성 공략이다. 지금까지와 다른 점이라면 어느 정도의 과금과 노력으로 충분히 찍을 수 있는 전설 등급과 달리 육성 난이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진다는 것. 실제로도 거대한 과금 및 계획적인 루비 소비와 어느 정도의 운이 따라주지 않으면 전설 등급 사령관은 하나하나 키우는 것도 녹녹하지 않다. 

 

과금이 아니면 키울수가 없는 요시츠네에게 실망하였는가? 그런데 알고 보면 굉장히 양반적인 케이스란 걸 곧 알게 될 것이다. 그만큼 전설 등급의 사령관의 육성 난이도는 예측이 힘들고 (운도 따라줘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인해 몇 가지 선택을 하게 된다. 어디까지 키워야 할 것인지, 어느 사령관을 콕 찝어서 우선적으로 육성해야할지. 전설 등급 사령관의 조각 수급처는 다음과 같다.

 

 

 

VIP 일일보상(좌) / 훈장 상점(중) / 돌림판(우)
황금 열쇠(좌) / 과금 패키지(중) / 각종 이벤트(우)

 

VIP 일일보상을 제외하곤 대부분이 운이라는 요소가 가미된 비정기적인 수급처이다. 특히나 대량의 조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고 평가받는 돌림판 이벤트도 내가 원하는 사령관의 차례가 지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즉 전설 사령관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과금과 루비 비축을 통한 계획적인 사용'을 해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고난을 지나고서도 복수의 사령관이 아닌, 단 하나의 전설 사령관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전설 사령관별로 특색에 맞게 선택을 잘해서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설 사령관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령관이 바로 리처드인데, 이유는 단순하다. '각성 단계까지가 아닌, 일부 육성(5511)이 끝난 상태에서도 효율이 가장 좋은 전설 사령관' 이기에.

 

 


 

 

2. 스킬

 

효율의 끝을 보여주는 리처드의 핵심 스킬. 딜링용 능력은 사실상 없다. 그러나 어마어마한 치료량피해량 감소, 그리고 상대의 피해량과 행군 속도를 감소시키는 디버프 능력이 있다. PVE, PVP에서 리처드가 속한 부대의 탱킹 능력을 극대화하여 전투 지속력을 높여주는 필수적인 스킬.

 

 


 

 

자신이 받는 피해량을 감소시키고 반격 피해를 증가시킨다. 탱킹력에 있어서 첫 번째 스킬과 결합하여 극강의 효율을 자랑한다. 상대방에겐 피해량 감소 디버프를 걸면서, 자신은 피해량감소와 동시에 반격 딜을 향상하는 스킬.

 

 


 

보병의 스펙을 증가시켜주며 전설 등급답게 증가하는 공/방 수치가 매우 높다. 탱커 역할을 수행하는 스킬 구성으로 보이듯이 리처드는 보병을 중심으로 단단하게 운용하는 사령관이다.

 

 


 

 

치료효과를 증가시켜 마스터 기준, 30%의 힐링 효과 증가를 보인다. 리처드 자체의 엑티스 스킬뿐만이 아닌 파트너의 사령관도 치료 스킬을 가지고 있다면 동시에 적용된다.

 

 


 

 

 

보병에게 상성 관계인 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주어진 각성 스킬. 소량의 피해량 감소, 딜링력 추가와 함께 행군 속도 감소 디버프를 시전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기병 입장에서는 행군 속도가 높은 기마 병종들에게 선공권과 타깃 선정이 이루어진다. 느릿한 보병으로 기병을 먼저 공격하여 디버프를 걸 일은 사실상 없는 상황. 각성의 효율이 생각만큼 좋지 않다.

 

 

리처드 1세가 왜 무과금 or 소과금과 같은 유저들에게 추천되는가하면 초반의 2개 스킬의 효율이 매우 좋다. 일반적으로 두 번째 스킬의 효율이 낮아 건너뛰고 세 번째 스킬을 노리는 5151 사령관과 달리 안정적으로 5511을 달성할 수 있고, 이런 5511 리처드의 효율이 쟁쟁한 과금러들 사이에서도 충분히 빛을 볼 수 있기 때문.

 


 

3. 특성

 

리처드의 특성은 주둔 / 보병유닛 / 방어로 나누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주사령관으로 사용 시에는 방어 특성을 주로 사용하며, 운용 보병 병과의 티어가 4 티어 이상으로 접어드는 후반부에는 병종 스펙 강화를 위해 보병 유닛 특성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손무나 을지문덕의 경우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는 주둔도 사용하는 등 항시 내 상황과 사용 용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하자.

 

 

(1). 방어 트리

 

 

가장 많이 활용하는 5511 단계에서 두 개의 스킬이 모두 방어쪽으록 극단적으로 치중되어 있다. 이와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 리처드를 주사령관으로 활용할 때 무난하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특성.

 

 


 

 

 

(2). 보병 특성

 

 

단일 병종에게 각종 보너스를 제공하는 병종 특화 특성은 늘 이야기하듯 내가 최소 4 티어 이상의 병과를 유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단계 (시청 레벨 최소 21 이후)부터 그 효율이 발휘된다. 단 느리고 느린 보병 특성상 유저 개인 성향에 따라 행군 속도가 중시되는데,

 

 

2개의 보병 속도와 축지법 특성에서 최대 18%의 행군 속도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상황에 맞추어서 특성 찍는 순번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때 필히 고려해주자.

 


 

 

4. 육성방향

 

 

전설 등급부터는 육성의 기준은 대부분 효율성이다. 모든 유저들이야 각성을 보고 가는 것은 매한가지인데 달려가는 속도에서 차이가 과금 유저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가 극명하다 보니 효율 기점을 보고 나에게 맞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

 

 

리처드의 경우 첫 번째와 두 번째 스킬이 버릴 것 하나 없는 핵심 스킬들이다. 

 

두 번째 스킬 마스터까지 총 280개의 조각상이 필요하며 그 후에 필요 조각상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게 된다. 무과금 유저일지라도 꾸준하게 루비와 VIP등급을 모으고, 매일 일일 퀘스트를 통한 황금열쇠에서 조각상을 노려보자. 특히 서버별로 기간은 다르지만 '돌림판 이벤트' 때 투자 루비 대비 다량의 조각상을 얻을 확률이 높은데 꼭 돌림판을 대비하여 루비를 모아놓은 후 돌림판에 투자를 하자.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5511까지는 찍을 수 있을 것이다.

 

 

 

 


 

 

5. 추천 조합

 

 

 

우선 설명해야 할것이 라이즈 오브 킹덤즈(이하 ROK)는 절대 화력 중심의 게임이 아니다. PVE의 경우 행동력이라는 요소와 이벤트 랭킹 시스템으로 인해 빠르게 제한 시간에 녹이는 것보다 유지력, 즉 탱킹력과 회복력이 필수 조건이고 PVP의 경우 병원 비용과 같은 문제로 인해 두부살의 딜러보단 단단하게 버티면서 자기 몫을 해주는 탱커들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 어느 정도 탱커 역할을 수행하는 사령관의 범용성이 대단히 높다.

 

 

 

(1). 카를 마르텔

 

방패와 방패가 만났다. 거대한 덩어리들끼리 뭉친 것 마냥 현재 제한적인 사령관이나 추후 등장 사령관을 배제하고 현존하는 조합에서는 가장 튼튼함을 자랑한다. 마르텔 역시 리처드와 비슷하게 탱킹 위주로 스킬이 구성되어 있다. 다만 두 사령관 모두 공격 스킬의 부재로 단일 타겟에 대한 딜링이 낮은 것이 단점. 단 이는 단일 타깃 한정이고 대규모 다대다 전투에서는 특유의 탱킹력으로 병력수를 유지하면서 반격 딜로 일정 수준의 딜량은 나와준다.

 

 

 

(2). 잔 다르크

 

팔방미인. 강력한 탱킹 능력과 함께 일반 공격의 딜을 상승시켜주어 반격 딜에 도움을 준다.

 

 

 

(3). 손무

 

범용성과 효율성에서는 현재 가장 Best 파트너. 육성 우선 순위가 높아서 각성 손무를 보유하고 있는 유저들이 많다. 특히 리처드와 같이 '보병'을 중심으로 운용한다는 것이 가장 큰 시너지 효과. 리처드의 부족한 딜링을 보충함과 동시에 유지력 면에서도 가장 추천하는 조합

 

 

 

 

(4). 을지문덕

 

손무와 마찬가지로 육성 순위가 높고 보병 병종을 공유한다는 점이 큰 메리트. 스킬 딜링 차이로 손무보다 우선순위가 낮았으나 최근 반격을 중심으로 한 보병 부대의 딜링 능력과 4 티어 이후에 보병 특성을 찍었을 때, 손무보다 우월한 병종 스펙 상승(각성 스킬)으로 인해 빛을 보고 있는 케이스

 

 

 

(5). 수호자

 

리처드 조각상 10개보다 수호자 5555 찍는게 더 쉽고 빠르다.

 

 


 

6. 평가

 

 

리처드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첫 번째와 두 번째 스킬 효율이 좋고 상대적으로 각성 스킬의 효율이 부족한 사령관.

 

(2). 극도로 방어쪽에 치우친 탱커형 사령관.

 

(3). 현재 PVP와 PVE에서 가성비 측면에서는 방어형 사령관이 유리하다.

 

(4). 키우기 더럽게 어려운 전설 사령관.

 

 

이러한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범용성과 활용성 면에서 최고의 모습을 보이는 사령관으로 다방면에서 쓰이고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자면 이벤트의 보상과 랭킹을 노리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소화해야 하는 PVE 컨텐츠에서 오랜 시간 외부에서 사냥을 할 수 있는 유지력을 가지고 있고, 치료비의 압박으로 인해 딜러는커녕 3부대 이상의 병력을 운용하기에도 빠듯한 무, 소과금 유저들이 오픈 필드에서도 연맹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제 몫을 하게 할 수 있는 사령관이다.

 

사실 재력이 최강이다.

물론 이성계를 중심으로한 딜러와 서버 오픈 기준, 120일 이후 해금되는 알렉산더, 살라딘과 같은 카운터 혹은 보병 병과의 상위 호환 격인 사령관들도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늘 이야기하는 거지만 완성된 사령관을 비교하는 것과 완성하는 과정까지 생각해서 비교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그리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는 것이 게임을 부담 없이 즐기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부지런히 루비 모아서 리처드 돌림판은 한 번쯤은 꼭 돌려주자.

 

 

↓다른 사령관 공략

더보기